‘송장 대표 위치’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이 ‘송장X스테이션 대각화’를 이용하는 알고리즘보다 로봇 이동거리가 더 짧을 것이다.
flowchart
시작([시작])
--> 1[/"[입력] 길지도, 스테이션-로케이션 매핑 정보, 송장_목록, 로봇당_최대_송장_수, 오더플래닝_방법, 오더플래닝_옵션"/]
--> 2{{"[세팅] 워크스페이스(길지도(송장_적재_장소, 하차_장소), 로케이션)"}}
--> 3["송장_그룹_목록 = 송장_그룹화(송장_목록, 로봇당_최대_송장_수, 오더플래닝_방법, 오더플래닝_옵션, 길지도)"]
--> 4["이동_거리_목록 = map(송장_그룹_목록, fn 송장_그룹 -> 이동_거리(송장_그룹, 길지도) end)"]
--> 5["이동_거리_합 = sum(이동_거리_목록)"]
--> 6[/"[출력] 이동_거리_합, 계산_과정, 입력값"/]
--> 끝([끝])
가설 기각 : ‘송장X스테이션 대각화’ 알고리즘이 ‘송장 대표 위치’ 알고리즘보다 로봇 이동거리가 짧은 경향을 보임